<Algorithm> 191. 피보나치(BJO)
by BFine반응형
1. 1003번 피보나치
사용 알고리즘 : DP
-
포스팅 안해도 되는 문제라 생각했는데 가끔 피보나치 구현하는게 헷갈릴때가 있어서 메모해둘겸 올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Lambda로 피보나치 구현하는 방법은 2019/04/01 - [공부/Lambda] -
5. JAVA8 in Action - Chapter 5 이글 맨 아래에 있다.
내 코드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|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Main { static int[][] dp;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/************************ * DP를 이용해 점화식을 세워서 * 개수를 구한다. * dp[n] = dp[n-1]+dp[n-2] ************************/ dp = new int[41][41]; dp[0][0] = 1; dp[1][1] = 1; for(int i = 2; i < 41; i++) { dp[i][0] = dp[i-2][0] + dp[i-1][0]; dp[i][1] = dp[i-2][1] + dp[i-1][1]; } int n = sc.nextInt(); for(int i = 0; i <n; i++) { int t = sc.nextInt(); System.out.println(dp[t][0]+" "+dp[t][1]); } } public int fibonacci(int n) { if (n == 0) { return 0; } else if (n == 1) { return 1; } else { return fibonacci(n-2)+fibonacci(n-1); } } } | cs |
반응형
'공부(2018~2019) - 스킨변경전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Algorithm> 193. 카드 구매하기(BJO) (0) | 2019.04.24 |
---|---|
<Algorithm> 192. 포도주시식(BJO) (0) | 2019.04.24 |
<Algorithm> 190. 컬러볼(BJO) (0) | 2019.04.24 |
<Algorithm> 189. 쿼드트리(BJO) (0) | 2019.04.23 |
<Algorithm> 188. 종이의 개수(BJO) (0) | 2019.04.23 |
블로그의 정보
57개월 BackEnd
BFine